정부와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바우처 제도, 알고 계신가요?
월 15만 원, 10만 원, 연간 14만 원, 최대 70만 원까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복지 정책들이 있습니다.
지금부터 각 제도의 지원 대상, 지원 내용, 신청 방법까지 상세히 알려드릴 테니, 끝까지 확인해 보시고 필요한 지원금 꼭 받아 가세요!
1. 안마 바우처 제도|연간 180만 원 지원
근골격계, 신경계 질환 등으로 불편함을 겪고 계신 분이라면, 안마 바우처로 전문 안마 서비스를 저렴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.
- 지원금: 월 15만 1,000원 × 12개월
- 본인 부담금: 월 약 16,800원
- 지원 대상:
- 만 60세 이상
- 기초연금 수급자 또는 중위소득 140% 이하
- 근골격계/신경계/지체장애/국가유공자 질환자
- 신청 방법: 주소지 주민센터 방문 신청 (진단서 또는 소견서 지참)
- 신청 시기: 지역별로 다름 (2~3월 또는 추가 모집 시기 확인 필요)
2. 문화 놀이 카드|연간 약 14만 원 포인트 지원
영화, 공연, 도서 구매, OTT 등 문화생활을 위한 바우처입니다.
- 지원 대상: 기초생활 수급자, 차상위 계층
- 지원금: 1인당 연간 14만 원 상당 포인트
- 사용처: 영화, 전시, 공연, 도서, OTT 구독 등
- 신청 방법:
- 온라인: 문화놀이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
- 오프라인: 주민센터 방문 신청
- 문의: ☎ 1544-3412
3. 에너지 바우처|최대 70만 원 지원
혹독한 겨울·여름 에너지 요금 걱정 마세요!
전기·가스·연탄 등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바우처 제도입니다.
- 지원금:
- 1인 가구: 29만 원
- 2인 가구: 40만 원
- 3인 가구: 53만 원
- 4인 이상: 최대 70만 원
- 지원 대상: 기초생활 수급자 중 아래 하나 이상 해당 시
- 65세 이상, 7세 이하, 장애인, 임산부, 출산 6개월 이내, 희귀·중증 질환자, 한부모 가정 등
-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또는 전화 신청
- 문의: ☎ 1600-3190
4. 스포츠 바우처|청소년 스포츠 강좌 월 최대 10.5만 원 지원
저소득 가정의 청소년을 위한 스포츠 교육 바우처입니다.
- 지원금: 월 최대 10만 5,000원
- 지원 대상:
- 기초생활 수급자, 차상위 계층
- 법정 한부모 가정
- 15~18세 청소년
- 신청 방법: 스포츠 강좌 이용권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
- 참고 사항: 지역별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
5. 농식품 바우처|가구당 월 4~18만 원 지원
건강한 먹거리 구입을 위한 저소득층 전용 식재료 지원 제도입니다.
- 지원금:
- 1인 가구 기준 월 4만 원
- 최대 월 18만 원까지 (가구원 수에 따라 다름)
- 지원 대상:
- 생계급여 수급자 중 임산부 또는 영유아 포함된 가구
- 신청 방법:
- 주민센터 방문
- 또는 농식품 바우처 플랫폼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
- 주의사항: 지원금은 이월 불가! 매월 꼭 사용해야 함
6. 평생 교육 바우처|연간 35만 원
자격증, 직업 교육, 전문 과정 등 평생 학습을 위한 지원금입니다.
- 지원금: 1인당 연간 35만 원
- 지원 대상:
- 수급자 또는 차상위 계층
- 비수급자도 30세 이상 성인으로 지자체 기준 충족 시 가능
- 신청 방법: 평생교육 이용권 홈페이지에서 거주 지역 선택 후 신청
- 문의: ☎ 1600-3005
요약 및 마무리
제도명 주요 지원 대상자 신청 방법
안마 바우처 | 연 180만 원 | 만 60세 이상 질환자 | 주민센터 방문 |
문화 놀이 카드 | 연 14만 원 | 기초생활 수급자 | 온라인/오프라인 |
에너지 바우처 | 최대 70만 원 | 수급자 + 취약조건 | 주민센터 방문 |
스포츠 강좌 | 월 10.5만 원 | 15~18세 저소득 청소년 | 홈페이지 신청 |
농식품 바우처 | 월 4~18만 원 | 생계급여 + 임산부/영유아 | 온라인/오프라인 |
평생교육 바우처 | 연 35만 원 | 수급자 또는 30세 이상 | 홈페이지 신청 |
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, 내가 해당되는 바우처부터 하나씩 신청해 보면 의외로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
꼭 필요한 바우처 제도가 있다면 오늘 바로 신청하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