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“우리 동네도 농어촌 기본소득 받을 수 있을까?”
교통비 부담 없이 버스·지하철 탈 수 있나요?
2026년 예산엔 이런 부모님, 청년, 농촌 주민 모두에게 희소식이 가득합니다.
1. 농어촌 기본소득, 내년 시범 도입
- 대상: 인구감소지역 6개 군, 약 24만 명 주민
- 지원금: 월 15만 원을 **지역화폐**로 지급
- 예산: 약 1,703억 원, 부담 구조는 국비 40% / 도비 30% / 군비 30%
- 로드맵: 2028년까지 69개 군, 272만 명 확대 → 2030년까지 총 6조 2천억 원 투입 계획
2. '든든한 한 끼' 직장인 식비 지원 사업 신설
- 대상: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 노동자 약 5만 4천 명
- 지원 내역: 월 최대 4만 원 상당 식비 지원 (외식비 20% 할인, 월 한도) :
- 경제적 부담 완화 + 지역 외식 활성화 효과 기대
3. 대중교통 정액패스 도입으로 교통비 대폭 절감
- 정책: K-패스 시스템에 '정액형 요금제' 도입, 전국 버스·지하철 이용 가능
- 요금:
- 일반: 월 6만 2천 원으로 최대 20만 원 이용 가능
- 청년·노년 등 교통약자: 월 5만 5천 원 적용
- GTX 등 광역 교통망 자주 이용 시, 월 10만 원 광역패스 선택 가능
- 자동 혜택 적용 시스템으로 환급형과 정액형 중 유리한 방식 자동 적용
4. 지역사랑상품권, 발행 지원 확대
- 목표: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지역화폐 발행 확대
- 국비 예산: 약 1조 2천억 원 배정, 발행 규모 24조 원까지 확대 지원
5. 이외의 주요 복지 확대 및 지원
- 7대 핵심 복지사업에 **지방 우대 원칙** 시범 도입
- 아동수당 지급 연령 상한 1세 연장, 낙후 지역 대상 차등 지원 강화 및 돌봄 대상 확대로 형평성 개선
- 기초생활보장 예산 22.4조 원으로 확대, 4인 가구 생계급여 기준 약 207만 8천 원 → 기초생활 안정 강화
- 국민연금 지역가입자(월 소득 80만 원 미만) 73만 6천 명에 최대 월 3만 8천 원 보험료 지원
- 소상공인 230만 명 대상 25만 원 경영안정 바우처 지원
자주 묻는 질문 (FAQ)
- Q1. 농어촌 기본소득, 모두에게 동일하게 지급되나요?
- A: 인구감소지역 6개 군으로 한정되며, 향후 확대 검토 예정입니다. 국비·도비·군비 매칭 구조입니다.
- Q2. 대중교통 정액패스는 기존 K-패스와 어떻게 다른가요?
- A: 정액패스는 월 요금만 내면 이용 한도 내 대중교통 무제한 사용이 가능하며, 환급형과 자동 비교해 더 유리한 혜택이 적용됩니다.
- Q3. '든든한 한 끼' 사업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요?
- A: 인구감소지역의 중소기업 노동자 약 5만 4천 명 대상이며, 지역 외식업도 함께 지원합니다.
누가 특히 주목해야 할까?
- 농촌·소도시 주민으로 생활 안정이 필요한 가족
- 대중교통 비용 부담이 큰 청년, 노년층
- 소상공인·중소기업 노동자로 식비 지원이 절실한 분
맺음말
2026년 예산안은 단순한 복지 확대를 넘어서, 정부가 **함께 나누는 민생 정책**으로 왔습니다.
농촌 기본소득, 교통비 정액패스, 식비 지원까지—우리 동네, 우리 가족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입니다.
꼭 확인하고 누리세요.
반응형